부수입을 만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제가 부수입을 얻기 위해 하고 있는 방법 중 한 가지를 소개해 보려고 해요.
바로 토스뱅크에서 엔화 혹은 달러를 환전해서 환차익을 얻는 방법인데요. 외화 환차익으로 부수입을 얻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토스 환전의 장점
가장 먼저 토스 환전의 장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환전이라고 하면 은행이나 증권사 환전을 생각하실 겁니다. 환전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사항은 바로 환율우대율과 환전 가능시간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토스에서 환전하면, 환전 우대율 100%에 24시간 거래가 가능해서 환테크하기 무척 편리합니다. 또한, 원하는 환율을 설정해 두면, 자동으로 매수매도가 되어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토스 자동 매수·매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토스에서 자동 매수매도 설정으로 편하게 달러 엔화 환전하는 방법
몇 년 전부터 환테크로 매달 부수입을 창출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몇 년째 환테크로 매달 일정 부수입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노동력도 필요없고 조금만 신경을 쓰고 있다
popo.infopocket.co.kr
토스에서 환전하는 방법
그럼 이제 토스에서 환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요새 대부분의 분들이 토스를 사용하고 계실 테니, 이미 토스 앱은 깔려 있으실 것 같습니다.
토스에서 환전을 시작하시려면, 환전한 외화를 넣어둘 수 있는 외화통장을 일단 하나 만드셔야 합니다. 검색창에 '외화통장'을 입력하면 바로 아래처럼 외화통장 메뉴가 뜹니다. 둘 중 원하는 외화통장을 개설하시면 됩니다.
외화통장을 만드셨다면 이제 준비 끝입니다. 토스뱅크 통장에 환전을 원하는 금액만큼의 원화를 입금해 둡니다. 100만 원을 환전할 거라면 100만 원을 토스 통장에 입금해 두세요.
입금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외화통장으로 이동합니다. 외화통장을 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환전하려는 외화가 달러라면 '미국 달러'를 클릭하시면 되고, 엔화 등 다른 외화라면 '전체 환율 보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엔화'를 환전하는 예시를 보여드릴게요.
'전체 환율 보기'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요. 현재 일본 엔 환율은 100엔 당 1000원이 넘은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엔화를 매수하는 건 좋은 생각이 아니니, 순서만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엔'을 클릭합니다. 아래 사진처럼 '팔기'와 '사기'가 뜹니다. 엔화를 매수하는 것이니 '사기'를 누르면 되겠습니다. 화면 위쪽에 보이는 환율이 적용됩니다.
'사기'를 눌러볼까요? 100만 원 환전을 하기로 했으니 '대한민국 원'에 100만 원을 입력합니다. 이렇게 입력하면, 내가 매수하게 되는 엔화가 얼마인지 나타납니다. 이상이 없다면, 확인을 누르면 매수가 완료됩니다. 매도할 때도 같은 방법으로 하시면 됩니다. 참 쉽죠?
외화 환전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부수입을 얻기 위해 외화 환전을 하는 만큼 얼마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 궁금하실 것 같아 말씀드려 봅니다.
투자금액이나 외화 종류에 따라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달라질 테니, 달러와 엔화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① 100만 원으로 달러 환전을 하는 경우
- 매수환율: 1,420원 👉 매수 가능 달러: 1,000,000 ÷ 1,420 = 704.23달러
- 매도환율: 1,430원 👉 704.23 x 1430 = 1,006,048원
- 환차익: 6,048원
② 100만 원으로 엔화 환전을 하는 경우
- 매수환율: 990원 👉 매수 가능 엔화: 1,000,000 ÷ 990 = 101,010.10엔
- 매도환율: 995원 👉 101,010.10 x 995 = 1,004,549원
- 환차익: 4,549원
마무리
지금까지 토스에서 외화 환전하는 방법과 환전으로 얻을 수 있는 환차익은 어느 정도인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어렵지도 않고, 조금만 신경 쓰면, 천 만원을 가지고 분할매수매도한다는 가정 하에 한 달에 1%의 수익만 얻는다고 해도 10만 원의 부수입이 생깁니다.
이 방법으로 저 또한 매달 꾸준히 부수입을 얻고 있는 중이고요. 만일 엔화 투자나 달러 투자를 하다가 물리게 된다면 채권이나 외화 RP, 외화 발행어음에 투자해 두는 방법도 있습니다.
모쪼록 이 글이 외화 투자 정보를 찾으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재테크 금융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 9.6% 고금리 단기적금 OK저축은행 OK금연적금 가입대상 및 추천 이유 (0) | 2025.01.13 |
---|---|
2025년 일본 주식시장 휴장일 안내 (일본 증시 휴장일) (0) | 2025.01.01 |
2025년 미국 주식시장 휴장일 안내 (미국 증시 휴장일) (0) | 2024.12.31 |
우체국 고금리 적금(연 10.3%) 추천, 빵빵한 경품 이벤트도 챙기자 (0) | 2024.12.23 |
나무증권 해외주식 양도세 조회 방법, 순서대로 따라하세요 (0) | 2024.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