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연금은 자산이 대부분 부동산에 쏠려 있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매우 적합한 노후대비 제도입니다. 노후에 사용할 금융자산이 충분하지 않은 분들은 노후에 생활비로 쓰기 위해 주택연금 가입을 고려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오늘은 주택연금 가입조건은 무엇인지, 지급유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려드리니, 노후에 주택연금 가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
우선 주택연금 가입조건부터 살펴봅니다. 아래 조건에 해당된다면 주택연금 가입이 가능합니다.
- 부부 중 1명이 55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 부부 중 1명이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부부 기준으로 보유한 주택의 공시가격이 12억 원 이하여야 합니다.
- 가입자 또는 배우자가 실제로 살고 있는 주택이어야 합니다.
※ 참고로, 다주택자라도 주택의 합산 가격이 12억 원 이하라면 주택연금 가입이 가능하며, 12억 초과 2주택자는 3년 이내에 1주택을 매도하면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공시가격이 얼마인지 모르겠다면, 아래에 마련해 놓은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주소 입력을 하시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택연금의 종류
이번에는 주택연금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연금의 종류는 일반형 주택연금, 우대형 주택연금(2억 5천만 원 미만의 1주택 소유자이면서 기초연금수급자 대상), 주택담보대출 상환용 주택연금, 소상공인대출 상환용 주택연금,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각 종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클릭하시면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내 아파트(주택)는 얼마 받을 수 있을까?
현재 거주 중인 아파트 혹은 주택으로 주택연금에 가입하면 매달 얼마의 금액이 나오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는 이런 분들을 위해 주택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는 계산기를 만들어 두었는데요.
현재 주택으로 매달 얼마의 금액을 받을 수 있을지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바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예상연금 조회는 55세 이상만 가능하다고 되어 있는데요. 현재 나이가 55세 미만이시라면 생년월일을 가상으로 입력하고 조회하시면 됩니다.
주택연금 지급방식
주택연금 지급방식은 ①종신지급방식, ②종신지급 혼합방식, ③확정기간혼합방식, ④대출상환방식, ⑤대출상환 우대방식, ⑥우대지급방식, ⑦우대지급 혼합방식이 있습니다.
각 방식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시, 주택연금 지급방식을 선택해야 하므로, 아래를 천천히 읽어보시고 어떤 유형을 선택할지 가늠해 보시기 바랍니다.
①종신지급방식
인출한도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평생동안 매월 연금형태로 지급받는 방식
②종신지급 혼합방식
인출한도 범위(대출한도의 50%, 재건축등 분담금 납부자금의 경우 70%) 안에서 필요할 때 수시로 찾아쓰고 나머지 부분을 평생동안 매월 연금형태로 받는 방식
③확정기간 혼합방식
인출한도 범위(대출한도의 50%, 재건축등 분담금 납부자금의 경우 70%) 안에서 필요할 때 수시로 찾아쓰고 나머지 부분을 일정기간 동안 매월 연금형태로 받는 방식
④대출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 잔액 혹은 폐업예정인 소상공인 본인이나 배우자의 대출금을 상환하는 용도로 대출한도의 50 ~ 90%를 우선 지급받은 후, 나머지 부분을 평생 동안 매월 연금 형태로 지급받는 방식
⑤대출상환 우대방식
대출상환방식 대상자이면서 본인이나 배우자가 기초연금을 수급하고 있는 분으로, 부부기준 시가 2억 5천만 원 미만의 1주택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 대출상환방식보다 인출한도와 월지급금을 우대하여 지급받는 방식
⑥우대지급 방식
본인이나 배우자가 기초연금 수급자이면서 부부기준 시가 2억 5천만 원 미만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 인출한도 설정 없이 평생동안 매월 연금형태로 지급받으며, 종신지급방식보다 더 많은 월지급금을 받는 방식
⑦우대 혼합방식이 있습니다.
본인이나 배우자가 기초연금 수급자이면서 부부기준 2억 5천만 원 미만의 1주택자일 경우, 우대지급방식 대출한도의 50%, 재건축등 분담금 납부자금의 경우 70% 범위 안에서 수시로 찾아쓰고 나머지 부분을 평생동안 매월 연금형태로 지급받는 방식
주택연금 지급유형
주택연금은 지급방식에 따라, 정액형과, 초기증액형, 정기증가형으로 나뉩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이해하기가 쉬울 텐데요. 종신지급(혼합)방식만 증액형이 가능하고, 나머지 방식들은 모두 정액형으로 매월 일정한 금액을 받게 됩니다.
정액형은 매월 동일한 금액을 받는 것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나머지 초기증액형과 정기증가형은 무슨 의미일까요? 바로 아래에서 살펴볼게요.
마무리
지금까지 주택연금 가입조건, 지급방식, 지급유형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았습니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서 어떤 방식과 유형을 선택할지는 달라질 것입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는 적당한 상품과 지급유형을 선택하셔서 마음 편한 노후를 보내시기를 기원합니다.
'쏠쏠 생활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해제 방법(카뱅, 토스, 케이뱅크) (0) | 2025.05.09 |
---|---|
SKT 유심 무상 교체 온라인 예약, 유심보호서비스,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신청 방법 (0) | 2025.04.28 |
내 아파트 주택연금 월수령액은 얼마일까? 주택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0) | 2025.04.23 |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 신청으로 퇴직 후 건보료 절약하는 방법 (0) | 2025.03.25 |
100% 온라인 예약제 화담숲 예약 방법과 휴무일은?(2025) (0) | 2025.03.19 |
댓글